국제화
IBus 1.5.19
-
이전 출시에서, Ctrl+Shift+E 단축키를 입력하면 IBus 이모지 대화 상자가 시작되고 사용자가 대화 상자의 입력 항목에서 이모지 주석을 입력하고 입력 항목은 주석을 이모지 문자로 변환 할 수 있습니다. 이제 바로 가기 키는 IBus 이모지 대화 상자를 시작하지 않고 IBus 사전-편집 기능을 사용하여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모지 입력 방법을 활성화합니다. 이와 같은 기능은 현재 입력 중점을 유지하여 이모지 문자를 가져오고 더 이상 이모지 대화 상자와 함께 현재 입력 문맥을 숨기지 않습니다.
-
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입력하는 기능은 이제 Ctrl+Shift+E 를 입력하는 기능에서 분리되고 Ctrl+Shift+U 는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입력하도록 할당되고 두 단축키는 모두
ibus-setup
유틸리티와 함께 사용자 정의 될 수 있습니다. -
이번 출시는 이제 사용자가 작성 키를 입력 할 때 사전-편집 텍스트를 표시합니다. 예제: Multi_key+apostrophe+E는 사전-편집에서 처음에 생략부호 “'`"를 표시하고 출력 "`é”.
-
ibus-hangul 1.5.1는 기본 값에 의해 라틴 방식으로 시작합니다. 이와 같은 설정은 설정 대화상자에서 변경 할 수 있으며, 또는 토글 키 Shift+space 및 Hangul 를 사용하여 한글 방식으로 전환합니다.
한국어, 중국어 및 일본어는 이제 기본 값으로 Noto 글꼴을 사용합니다
페도라 29에서, 한국어, 중국어 및 일본어 (CJK)는 기본 값으로 구글 Noto 글꼴을 사용합니다. 개별 언어는 Noto 계열에서 sans-serif, serif 및 monospace 글꼴을 갖습니다.
이와 같은 변경으로 인해 디스크 공간 요구 사항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, 모든 CJK 글꼴은 또한 가중치-변형당 단일 OpenType 집합 형식 파일로 통합되었습니다.
Liberation 글꼴 2.00
Liberation 글꼴은 이전 페도라 출시에서 사용 할 수 있었던 버전 1.07.5에서 버전 2.00.3로 향상되었습니다. 신규 버전은 훨씬 더 많은 문자 범위(대략 3-4배 더 많은 문자)를 제공하고, 라이선스를 Liberation에서 개방형 글꼴 라이센스(OFL)로 변경합니다.
버전 2.00은 바이트코드 힌팅 지침을 제공하지 않지만, 이전 버전은 제공했습니다. 만약 당신이 버전 1.07.5를 계속 사용하고자 한다면, liberation-fonts COPR 저장소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Want to help? Learn how to contribute to Fedora Docs ›